물성DB소개

[물성DB] 물성DB를 활용한 스크래치 특성 검색
CMiB | 2015.11.30 11:54 | 조회수 : 1144

 감성 플라스틱
    현대 생활에 쓰이는 많은 부분이 플라스틱으로전자제품의 하우징, 자동차의 내장재 등 사람과 직접 접촉하는 부분에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므로 최근에는 단순 보호역할만 하던 플라스틱 표면에 컬러, 촉감, 손상복원 등의 다양한 기
   능을 불어 넣어
‘감성소재’로 연구개발 되고 있다. 

   [감성소재로 만드는 방법 ]
     • 컬러 
        - 드라이컬러 : 펠렛형태의성형재료와 착색제를 혼합하여 성형기 내부에서 색상이 만들어지는 방법
        - 컬러컴파운드: 드라이컬러 방식으로 압출성형 한 후, 잘게 펠렛으로만들어 제품 제작에 사용하는  방법
        - 마스터배치 : 제품의 색상과 비교해서 고농도의 안료로 만들어진 펠렛을일정비율로 성형재료와 섞어 사용
          하도록 하는 방법

 

컬러 (2).png


• 가공법

   - 표면처리, 도금(메탈느낌), 증착, 패드 프린팅, 핫스탬핑, 인몰드데코레이션, 필름인서트몰딩, 3차원 입체패턴 구현 이중사출 성형기술 등

가공법.png

        • 소재 개발
      - 내스크래치성소재 : 고분자 소재의 표면조도, 경도, 마찰, 마모 및 내스크래치 등의 표면특성이 우수함.



 
물성DB를 활용한 스크래치 특성 검색
   상용소재DB의 분류검색을 활용하면 여러 상용소재에 대한 스크래치 특성을 찾을 수가 있다. 스크래치 특성 정보를
   가지고 있는 상용소재는 129grade가 있으며, 그 결과를 살펴보면
열가소성플라스틱(65grade), 기능성/코팅필름
   (18grade), 일반필름(기재필름, 15grade)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열가소성플라스틱의 소재는 PP(35grade)
   와 ABS(14grade)가 가장 많은 스크래치 특성 정보를 가지고 있음
을 알 수 있다. 또한 열가소성플라스틱의
   스크래치 특성과 관련한 용도측면에서 살펴보면 
자동차분야는 PP(32grade)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있었으며,
  
전자제품 외장재로는 ABS와 PP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 외의 용도에는 생활소비재와 의료용품 등이 
   있었다.

 

내스크래치 특성정보.png


  소재의 내스크래치성 특성 평가

   • 위에서 검색한 내스크래치성관련 상용소재의 물성을 살펴보면 연필경도, 쇼어경도, 로크웰경도, 스크래치
     깊이 및마모 등이 있었다. 그러나 이들 물성이 내스크래치성관련 소재에서 공통 물성으로 측정되어 있지 않았
     다. 따라서 내스크래치성소재의정량/정성적 물성평가는 불가 하였다. 
스크래치 특성은 Mar(반복성 생활흡집) 
     및 Scratch(날카로운 요인의 일회성 흡집) 특성으로 말할 수 있으며, 비정형적인 형태를 정량/정성평가를 하
     기 위해 표준화 제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화학소재정보은행은
국제적 스크래치 평가법을 제정하기 위해
     지속적인 지원
을 하였으며, 2014년에 ISO 국제표준 평가법  (ISO 17541)으로 등록되었다. 
 
      [►관련 기사 클릭]

  • 또한 화학소재정보은행 물성DB는 다양한 소재의 스크래치 특성을이해하기 위해 ISO 국제표준 평가법에의해
    측정한 스크래치 특성을 DB화 하여 제공하고 있다.
 
• 다음은 화학소재정보은행의 스크래치DB의 비교기능을 이용하여 각각 소재의 스크래치 색차 비교가 가능하였
     다.

그림2.png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