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화학소재정보은행 Newsletter Vol.150 (2022년 12월)
관리자 | 2023.03.08 00:00 | 조회수 : 395

본 뉴스레터의 자료는 소재정보은행 홈페이지(www.matcenter.org) 로그인 후 원활하게 보실 수 있습니다.

CMIB 뉴스레터 2022.12 vol.150 - 화학소재정보은행은 플라스틱, 탄성소재, 정밀화학, 코팅, 태양전지 분야의 특성정보, 국내외 화학소재의 최근 기술동향 자료, 교육 프로그램 및 기술 컨설팅을 제공합니다.
[복합수지 인공지능 예측 플랫폼 소개]
- 한국화학연구원 화학소재솔루션센터에서는 복합수지 데이터를 인공지능 기술에 적용한 조성/물성 예측 플랫폼을 구축 중에 있습니다.
- 예측 플랫폼은 복합수지 데이터에 대해 검색, 시각화 분석, 예측, DOE 실험설계, 부품 및 용도 추천 기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예측 플랫폼을 활용함으로써 복합수지 연구개발의 시간단축 및 비용절감 효과를 기대합니다.
 ※ 본 플랫폼은 한국화학연구원과 기술이전 협의를 통해 활용 가능합니다.
				(인트로, 시각화분석, 물성예측 이미지)
[물성DB 현황(2022년 4/4분기 기준)]상용소재:소재(61,879) 물성(689,245), 배합:소재(20,896) 물성(144,283), 보고서:소재(8,721) 물성(28,274), 측정DATA:소재(8,249) 물성(70,768)
[심층보고서-화학소재정보은행에서는 각 분야별 전문가가 작성한 심층보고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내후성과 가상공학
  Ⅱ. 내후성 시험과 CAE 해석
- 저자 :  김선우 책임연구원(한국화학연구원 화학소재솔루션센터, 관심분야 : 플라스틱 부품 설계, FEA, 내후성, 수명예측, E-mail   : skwpado@krict.re.kr)
  목차 : Ⅰ. 서론
     1. 설계 관점에서 고려할 내후성 시험 인자 
          - 내후 시험 시간

Ⅱ. 플라스틱 소재의 내후성 시험
     1. 고분자 소재 및 4년 자연광 노출 시험
     2. 4년 자연광 노출 시험 결과
         2.1. 4년 기후 정보
         2.2. 4년 자연광 노출 시험 결과
     3. 내후 열화 거동 예측 모델
         3.1. 탄성 영역 열화 거동 예측 모델 
                 ? 지수 성장-감소 모델
         3.2. 소성 영역 열화 거동 예측 모델 
                 ? 역 로지스틱 모델 
     4. 내후 열화 거동 예측 결과

Ⅲ. 내후 CAE 해석
     1. 내후 열화를 고려한 유한요소해석용 
         진응력-진변형률 계산
     2. 내후 열화를 고려한 가상 부품 설계 사례
         2.1. 불연속 내후 CAE 해석 사례 
                 ? PC 충돌 해석
         2.2. 연속 내후 CAE 해석 사례 (1) 
                 ? PP 내후/내열 해석
         2.3. 연속 내후 CAE 해석 사례 (2) 
                 ? PBT 보스의 자기 풀림 해석

Ⅳ. 맺음말

참고문헌, 
개요 : 부품의 지속적 사용과 재사용에 중점을 둔 제로 웨이스트(Zero waste) 방식인 순환경제(Circular economy) 개념이 부품 설계에 중요한 전략이 되고 있다. 본 연재의 배경은 제품수명연장(Product life extension)을 통한 순환경제 구현의 새로운 솔루션 제공에 있다. 제품수명연장은 사용될 제품의 이용률 및 지속시간을 최대화하도록 설계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제품을 버릴 때마다 제품 생산에 투입된 에너지와 자원 역시 함께 소멸된다. 제품 폐기로 인해 소멸되는 자원을 순환시킬 목적으로 재사용 및 재활용이 고려되는데 제품수명연장은 폐기물 수거 이후 분리나 재사용 또는 재활용에 소모되는 에너지와 자원을 미리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효과적인 선제적 친환경 솔루션이라 볼 수 있다. 본 보고서는 4년의 자연광 노출 시험 사례 중심으로 기계적 물성의 열화 거동 분석, 수명예측 모델 개발, 그리고 내후 CAE해석을 위한 절차 및 가상 사례를 통한 내후 CAE해석의 효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화학소재정보은행&한국시니어과학기술인협회 공동 기술 컨설팅 실시 화학소재 정보지원, 신뢰성 평가 One-Stop 통합서비스콜센터 1800-4014 화학소재솔루션센터 브로셔 및 리플릿 기업회원 가입안내 기술컨설팅 안내 페이스북
목록